
또 한번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이 인상이 됩니다. 끊임없이 계속 오르는 전기, 가스 요금 작년 겨울부터 시작되어 시도때도 없이 빠르게 오르는 전기, 가스 요금 때문에 정말 미쳐버리겠네요! 이번 전부에서 5월 16일부터 전기, 가스 요금을 인상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4인 가구 기준으로 전기요금은 3,000원 / 가스요금은 약 4,400원이 상승되었습니다. 그럼 인상된 요금과 이유를 알아 보겠습니다!
2022년 9월에서 2023년 3월 기준으로 한국전력공사 데이터에 따르면 서울, 경기도 및 주요 도시 전기, 가스 기준 사용량이 (전기 월평균 사용량 - 332 kwh), (가스 월평균 사용량 - 3,861mj) 이라고 합니다.
요금인상은 전기사용량 8.0원, 가스 사용량은 1.04원이 인상됩니다. 그리하여 4인 가구 기준 월 전기요금은 3,000원 인상이 되고 가스요금은 4,400원이 증가 되었습니다.
취약계층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에게는 요금 인상 적용을 1년 유예라는 방안을 발표를 했습니다.
정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국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여 전기와 가스 요금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서민들에게는 필수적인 전기와 가스인 만큼 정부에서 서민들의 가계지출에 큰 부담을 안겨주어 이번 인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몇가지 대안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대안책
에너지 바우처 지급 대상 확대
생계/의료, 기초수급생활자 중 더위와 추위에 민감란 계층에서 주거 또는 교육 기초생황 중 더위와 추위 민감계층까지 확대
전기요금 분할납부제 확대(예정)
기존 주택용에 한해 제한적으로 실행했던 전기요금 분할납부제도를 소상공인과 뿌리 기업에까지 확대해 냉방 수요 증가에 따른 요금부담을 일정기간 분할시킬 수 있게 지원할 것이며, 농사용 전기요금에 대해서는 이번 인상분에 대해 3년 걸쳐 1/3씩 분산 반영해 단기간에 요금 부담을 줄 일 것이라고 발표
에너지 취약계층 요금 인상분 1년 유예
취약계층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에게는 요금 인상 적용을 1년 유예라는 방안을 발표를 했습니다.
에너지케시백 제도확대(예정)
가구들 중에 평균 절감률 보다 더 높은 절감률을 달성한 가구는 절감한 전기 사용량에 따라 kwh당 30원 인센티브 캐시백으로 지급, 직전 2년 동월 평균 전력 사용량 대비 5% 이상 절감을 하면 30원에서 70원까지 캐시백을 지급하여 최대 100원까지 전기요금에서 차감될 수 있는 제도확대 예정
'라이프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이 되는 블로그 키워드(황금키워드) 찾는 방법 및 키워드 사이트 알아보기(블랙키위, 키워드마스터) (0) | 2023.05.22 |
---|---|
실시간 교통정보 CCTV로 고속도로 정체 및 원활 확인하기 (카카오맵, 네이버지도) (0) | 2023.05.20 |
갤럭시 버즈 전화 올 때 발신자 알려주는 기능 켜기/끄기 (0) | 2023.05.11 |
국민건강보험 보험료 납부확인서 및 연금보험확인서 발급 받기 (1) | 2023.05.08 |
5월부터 시작되는 숙박비와 교통비 정부지원 알아보기 (0) | 2023.04.28 |
댓글